‘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병상 수 많을수록 사망·재입원율↓

건보공단, 생활권역별 의료자원 분포·의료이용·건강결과 차이 발표

중소병원 분포 따라 지역별 사망률·재입원율 2배 이상 차이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병상 수가 많을수록 사망과 재입원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의료생활권을 도출하고 각 지역 간 의료이용 양상을 비교 분석한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KNHI_Atlas) 구축 연구(연구책임자 김윤 교수)’의 중간결과를 31일 발표했다.

환자의 입원의료이용 행태, 인구수와 이동거리를 기반으로 56개 중진료권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원 의료자원의 공급, 공급 구조와 입원의료이용, 건강결과(중중도보정 사망비, 표준화 재입원비)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우리나라 급성기 병상수는 2016년 현재 인구 천명당 6.2개로 OECD 평균 3.3개의 1.9배다.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병상이 50% 이상인 OECD 국가와는 반대로 우리나라는 300병상 미만 중소형 의료기관 병상이 전체의 69%로 중소형 병원 중심의 공급구조를 갖고 있다.

56개 중진료권 중 인구 1000명당 급성기 병상이 가장 많은 지역은 9.9개, 가장 적은 지역은 3.6개로 진료권간 2.8배의 격차가 나타났으며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이 없는 곳은 11개였다.

중진료권 중 인구 1000명당 입원이용량이 가장 많은 곳은 377건, 가장 적은 곳은 155건으로 2.4배의 격차가 발생했다. 56개 중진료권 중 자체충족률(지역 내 의료기관 이용률)이 가장 낮은 곳은 32%(진천)였으며 50% 이하인 곳도 14개였다.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중진료권별 의료결과를 살펴보면 중증도 보정 사망비가 가장 높은 곳은 이천‧여주(1.7)로 가장 낮은 강릉‧평창(0.8)보다 2배 이상의 격차가 나타났다. 사망비가 가장 낮은 강릉‧평창은 0.8로 주변 지역 중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이 존재하지 않는 속초(1.5), 영월(1.3)보다 낮았다.

인구 1000명당 급성기 병상은 6.6개로 전국 평균(6.2개)보다 소폭 많았으며 급성기 병상의 63%가 300병상 종합병원에 의해서 공급되고 700병상급의 지역거점 의료기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비가 가장 높은 이천‧여주는 인구 1000명당 병상수는 3.7개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급성기 병상 100%가 300병상 미만 의료기관에 의해 공급되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자체충족률도 45.4%(평균 64%)로 의료자원이 취약했다.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위험도 표준화 재입원비는 가장 높은 곳은 여수(1.4), 가장 낮은 곳은 천안‧아산(0.8)으로 1.8배 이상의 격차가 나타났다.

재입원비율이 가장 낮은 천안‧아산은 인구 1000명당 급성기 병상은 5.7개(전국평균 6.2개)이며 급성기 병상의 40%가 300병상 종합병원에 의해 공급됐으며 지역거점 의료기관 기능을 하는 종합병원이 존재했다. 인구 1000명당 입원 또한 204건으로 전국 평균에 비해 낮았으며 자체충족률은 81.1%였다.

재입원비율이 가장 높은 여수는 인구 1000명당 급성기 병상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준(9.6개)이며 급성기 병상의 13%가 300병상 종합병원에 의해 공급됐으나 지역거점 의료기관 기능을 수행하는 병원은 없었다. 인구 1000명당 입원 또한 334건으로 전국 평균 225건에 비해 높았으며 자체충족률은 72.8%였다.

김윤 교수는 “ 과도한 병상의 공급은 입원 의료이용과 재입원의 증가로 나타났으나 병상 공급량이 많아도 공급구조가 좋은 경우 의료이용과 의료결과가 양호했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입원 및 재입원을 예방하고입원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병상의 공급구조를 살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300병상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