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에 대한 오해

[인터뷰] 분당서울대병원 김의태 교수

"정상인처럼 활동할 수 있는 질환"



 

"조현병에 대해 가장 많은 편견을 갖는 직업군이 의사들입니다. 호전되는 환자를 못 보고 늘 병실에 있는 사람만 봐서 그런지..."

 
조현병(구 정신분열증)을 주로 치료하는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의태 교수(사진)는 답답해 했다.
 
질환에 대한 낮은 인지도는 어떤 질환을 보는 의사라도 토로하는 내용이지만, 조현병은 전문가인 의사들조차 편견을 많이 갖고 있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10여년전만 해도 '신들림'이나 '악마의 저주'로 치부되던 질환이어서 일까.

여전히 조현병에 대한 인식은 유독 나쁘고, 불치병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 결과 초기 진단시점은 매우 늦어졌고, 심각한 상태의 환자들이 사회경제 활동을 더 이상 하지 못한 채 의료급여 환자로 전락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조현병은 꾸준히 관리하면, 충분히 사회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는 질환이라는 것을 이젠 알아주면 좋겠습니다."

 
조현병은 인구 100명 중 1명이 발병하며, 우리나라는 매년 약 4800~2만 40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10대 후반에서 20대에 주로 발병해 만성적인 결과를 밟는 질환으로, 뇌 속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과발현하는 것이 원인이다.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조현병도 병이 될까말까 하는 전구기가 있죠. 주로 청소년기에 급격한 성적의 저하나 성격 변화, 학교생활 문제 등이 나타납니다. 이 때 치료하기 시작하면 발병을 예방할 수 있고 발병하더라도 뇌기능이 많이 떨어지지 않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이 쉬운 건 아니다. 조기에는 질병 자체가 확연하게 구분되지 않아 경과관찰 및 인지기능 평가를 통해 일시적인 증상인지, 조현병에 의한 증상인지를 가려내야 한다.
 
 

"그래서 입원 후 진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뇌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MRI와 뇌파검사를 하는데, 그 것만큼 중요한 것은 환자의 임상양상입니다. 환자의 수면패턴, 대인관계, 기분의 변화를 통해 감별진단 하는 거죠."

 
주된 치료법은 약물 치료다. 정형계‧비정형계 등의 경구제, 장기지속형 주사제 등 다양한 약물들이 쓰인다.
 
그리고 약을 중단하지 않고 잘 복용하면, 정상인과 같은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클리닉에 오는 환자는 전문직, 가정주부, 자영업자 등 다양하며, 대부분 기본적인 사회기능을 유지합니다."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인 배려는 부족하다. 조현병 환자의 절반이 저소득층 '의료급여' 환자이지만, 이 환자를 보는 외래수가는 고작 하루에 2770원(투약+진료)이다.
 
비싼 약을 쓰면 병원에 손해를 끼치게 되므로, 의사는 환자에게 가장 적당한 약을 고민하기에 앞서 가격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이에 비하면 건강보험은 천국이다. 산정특례를 적용해 환자 부담을 10%로 줄였기 때문에 약제 선택의 폭이 넓다.
 
그러나 약제 하나하나의 급여기준은 빡빡해, 한달에 한 번만 맞아도 되는 장기지속형 주사제는 최근에서야 초발환자까지 급여 확대됐다.
 
그동안에는 재발로 인한 입원 경험이 있는 환자(낮 병동 입원 제외)에게만 제한적으로 적용됐다.
 
장기지속형 주사제는 복약순응도가 떨어지는 환자에게 최적의 옵션이다. 병을 앓고 있다는 인지가 부족한 환자들에게 매일 먹는 경구제를 처방하면 복약순응도가 떨어지지만, 주사제는 의료진이 한달에 한 번만 투여하면 되기 때문에 순응도가 높다.
 
복약순응도가 높다는 것은 지속적인 관리와 악화 방지를 의미한다.
 


"초기 환자에게도 주사제를 충분히 쓸 수 있습니다. 도파민이라는 물질이 처음에 항진돼 있는데, 정상수준으로 내려가기까지 시간이 걸려요. 그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하게 됩니다. 재발하지 않게 주사제 투여가 유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급여가 풀렸어도 의료급여 환자에게는 택도 없는 얘기다. 한달에 30만원 정도하는 주사제 값을 하루 2770원의 수가가 어찌 감당하리.
 
정부가 관련 학회 등과 지원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아무 것도 정해진 건 없다.
 


"정액제의 문제는 치료 선택의 폭이 좁아진다는 것입니다. 의료급여 환자 중에는 증상이 심한 환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분들이 받아야 할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정액제를 풀어야 합니다."

#조현병 # 정신질환 정액수가 # 2770원 # 장기지속형 주사제 # 인베가서스티나 # 정신분열증 # 의료급여 # 얀센 # 메디게이트뉴스

송연주 기자 ([email protected])열심히 하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