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환자를 위해 헌신하신 故고원중 교수님을 추모합니다"

소외질환 연구 공헌...유족측 요구로 숨진지 4달만에 삼성서울병원에서 추모식 개최

故 고원중 삼성서울병원 교수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삼성서울병원이 평생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연구에 매진해온 고(故) 고원중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의 추모식을 마련한다. 지난 8월 22일 고 교수가 숨진지 4개월만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교수들에게 16일 오후 5시 30분 성균관의대 히포크라테스홀(일원역사 B동 9층)에서 고(故) 고원중 호흡기내과 교수의 추모식을 연다고 공지했다.  

고 교수는 평생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연구에 매진해왔으며 학계의 손꼽히는 대가로 꼽힌다. 그런 그가 지난 8월 22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알려져 주위의 안타까움을 샀다. 

고 교수는 올해 5월부터 병원에 사직의사를 밝혀 잠시동안 진료를 중단하다가 9월부터 아주대병원에서 다시 진료를 하기로 결정했다.

유족은 비록 고 교수가 병원을 떠나기로 했지만 병원을 빛낸 공로로 정식으로 추모식을 열어달라고 요청했고, 병원은 올해가 가기 전으로 추모식 날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서울병원은 보통 임직원이 숨지면 한달 이내에 추모식을 여는데 비해 이례적인 결정이다. 

삼성서울병원의 한 교수는 “고원중 교수는 뛰어난 연구업적을 쌓으면서도 겸손했다. 주위 사람들이 다들 좋아할 정도로 인품이 훌륭했다. 환자들에게도 잘했고 주위 동료교수들 사이에서도 선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서울의대 동기회에서도 지난 11월 조촐한 추모식을 열어 그를 추모했던 것을 알려졌다. 비결핵 폐질환 환우회 인터넷 카페 등에서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고 교수는 1993년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내과 전공의를 마쳤다. 2011년부터 숨지기 전까지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에서 근무해왔다. 학술적으로는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간행위원회 위원, International Journal of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부편집인, 질병관리본부 결핵전문위원회 위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사업관리전문가(Program Manager) 등을 맡아왔다. 

연구 업적을 토대로 수상경력도 화려하다. 1999년 국립환경연구원장상, 2006년 대한내과학회 학술상, 2008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최우수 연구자상, 2009년 제37회 보건의 날 국무총리표창 2009년 제42회 유한의학상 대상, 2013년 제15회 함춘내과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이어 2014년 11월에는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주관하는 화이자의학상을 수상했다. 

고 교수의 연구자료 소개에 따르면 비결핵항산균은 결핵균과 나병균을 제외한 항산균을 말하며 현재 150여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ycobacterium avium complex) 균이 가장 흔하다. 

비결핵 항산균은 하천과 수돗물, 토양 등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며, 온수 샤워 시 발생하는 수증기에도 섞여 있어 누구나 매일 노출되는 균 중 하나다. 병원성이 낮고 사람 사이 전염이 없다 보니 다른 균에 비해 덜 알려져 있다.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은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균이 공기를 통해 호흡기에 감염돼 발생한다. 폐결핵 흉터 또는 기관지확장증 등 기존 폐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질병이 발생한다. 

비결핵항산균의 위험은 다른 감염병 못지 않으며 주로 폐질환을 일으키지만 증상과 징후가 비특이적이고 경과를 예측하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감염병 치료가 잘 되지 않은 경우 항생제 내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은 이러한 항생제 내성이 드문 데도 치료가 잘 안 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았다.

고 교수는 “비결핵항산균은 국내에서 환자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진단과 치료에서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환자는 임상상과 방사선 소견이 폐결핵과 유사하고 객담 항산균 도말검사에서 결핵균과 구별이 되지 않는다. 많은 환자들이 폐결핵으로 흔히 오진돼 결핵치료를 받고 가족들은 불필요한 결핵 접촉자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비결핵항산균의 효과적인 항생제는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과 클래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등 경구용 매크로라이드(macrolide) 항생제다. 그런데 매크로라이드(macrolide)를 포함한 여러 경구용 항생제를 병합해 18-24개월 치료를 하더라도 국내에서 흔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ycobacterium avium complex) 폐질환의 치료성공률은 50~6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결핵항산균의 폐질환에 대한 이러한 항생제 치료성적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다제내성결핵(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MDR-TB)보다 훨씬 낮은 실정이다.

고 교수는 2014년 11월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주최한 화이자의학상을 수상한 연구를 통해 원인균에 따른 예후에 차이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고 교수는 "불치병(incurable infectious disease)으로까지 여겨졌던 M. abscessus 폐질환은 이제 원인균이 M. abscessus인가 M. massiliense인가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큰 차이를 보이며, M. abscessus 폐질환과 달리 M. massiliense 폐질환은 항생제로 충분히 치료 가능한 질환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됐다"고 했다.

고 교수는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주변 환경을 통해 환자 몸속으로 새로운 균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환자가 새로운 균에 재감염 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은 치료를 시작한 지 평균 12개월 소요됐으며, 25%는 6개월 이내로 집계됐다. 치료가 더뎌 항생제 내성이 생긴 것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새로운 감염이 숨어 있었던 것"이라고 밝혔다.

고 교수는 “비결핵항산균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일상 환경에 얼마만큼 퍼져있는지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라며 ”선진국에선 환자 가정으로 공급하는 수돗물과 샤워꼭지 등에 대해서도 비결핵항산균이 있는지 조사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한다"면서 "우리나라는 아직 기초 연구도 부족한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다음은 화이자의학상 수상 당시 그가 남겼던 수상소감이다. 그는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은 소외되고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지만 점차 관심이 늘어나고 전공하려는 젊은 후배들이 늘어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아직 너무나 부족한 저에게 이렇게 훌륭한 상을 주신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남궁성은 회장님과 최병인 선생님을 포함한 심사위원 선생님들 그리고 한국화이자제약 이동수 대표이사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수상자로 결정되었다는 발표가 난 이후 가족과 선생님들 그리고 지인들로부터 분에 넘치는 축하를 받았습니다. 특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이경수 선생님, 삼성서울병원 병원장 송재훈 선생님, 삼성서울병원 연구부원장 홍성화 선생님께서 제일 많이 축하해주시고 격려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내과 그 중에서도 호흡기내과 의사로서 주로 폐결핵과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환자를 진료하고 있습니다. 이 질환은 다른 질환들과 비교하여 사회적으로 그리고 학문적으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제가 호흡기내과 의사로서 이 질환을 전공하고 싶다고 할 때 주위에서는 우려도 많이 하셨습니다. 특히 임상연구의 주제로 우리나라에서 학문적 성과를 낼 수 있겠느냐는 걱정도 많이 하셨습니다. 제가 화이자의학상을 수상한 것이 이런 소외된 질환을 전공하는 것도 환자를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충분히 학문적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 같기도 해서 기쁩니다. 앞으로 좀 더 많은 분들이 이 질환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작은 계기가 되고, 이 질환을 전공하고자 하는 젊은 후배들이 늘어가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저는 연구자이기 전에 임상의사입니다. 제가 하는 연구의 모든 주제는 의사로서 환자를 진료하면서 생긴 임상적 고민으로부터 시작된 것입니다. 임상연구자이기 전에 환자를 진료하는 좋은 임상의사가 어떠해야 하는 지를 내과 전공의 시절부터 가르쳐주시고 보여주신 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심영수, 한성구 선생님 그리고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권오정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임상연구자로 커 가는데 어떻게 의학논문을 써야 하고, 왜 해외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여야 하는지를 임상강사 시절부터 가르쳐주시고 보여주신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이경수 선생님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금년은 제가 2004년 의과대학 조교수 발령을 받은 지 꼭 10년이 되는 해입니다. 10년 동안 제가 폐결핵과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에 대한 임상연구를 꾸준히 해 올 수 있었던 것은 환자진료를 도와주시는 여러 과의 선생님들 덕분에 가능하였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김태성, 정명진, 이진아 선생님, 진단검사의학과 이남용, 기창석 선생님 그리고 흉부외과 김진국, 최용수, 김호관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에 근무하는 지난 10년 동안 제가 다른 일을 줄이고 폐결핵과 비결핵 항산균 환자 진료와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배려해주신 호흡기내과 김호중, 정만표 선생님께도 특별히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임상의사로서 같은 주제를 고민하고 연구하는 기초의과학자를 만나고 함께 연구할 수 있었던 것은 저에게 큰 행운이었습니다. 환자를 진료하는 저에게 미생물이 무엇인지 가르쳐주고 새로운 시각과 지식을 알려주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신성재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연구실의 김수영 박사에게 정말 고맙습니다. 저와 함께 폐결핵과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에 대한 진료와 임상연구를 함께 하고 있는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후배들인 전경만, 박혜윤, 정병호 선생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시절부터 제 옆에서 제가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항상 저를 인정하고 도와주는 아내 이윤진과 아빠를 믿고 항상 응원해주는 아들 성민이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자주 찾아뵙지도 못하는 부모님과 장인 장모님께도 죄송함과 함께 감사를 드립니다. 피부과 전문의로 평생 환자 진료를 하셨던 아버님 그리고 어머님께 그리고 제가 진료와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과분한 사랑과 지원을 해 주신 장인 장모님께 그래도 아들 또는 사위가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014년 11월
임솔 기자 ([email protected])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