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제부터는 장기전…“고강도 거리두기 지양하고 PCR→신속항원검사 도입해야”

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기획조정실장 “지금이 장기화 국면 코로나19 대비할 적기”

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기획조정실장. 사진=KTV 실시간 중계 캡쳐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양하고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을 현 140개에서 최소 400개까지 늘려야 한다. 기존 PCR검사법에서 신속항원검사법으로 대체도 고려해볼 만하다."
 
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기획조정실장은 2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간평가 및 장기화 대비 공개토론회'에서 "지금이 코로나19 장기화를 대비할 수 있는 적기"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나타난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성과 의료적 대응체계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장기화 시나리오에 맞춰 적절한 방역 전략을 세워야 재차 발생할 수 있는 펜데믹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2단계 넘는 사회적거리두기 비효율적…개인위생이 우선
 
주영수 기획조정실장은 우선 2단계를 넘어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는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 때문에 거리두기 정책은 단순하고 실효성 있게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주 실장은 "지금까지의 상황을 봤을 때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회적 부담이 큰 반면 오히려 방역 효과는 그 정도 효과가 나오지 못했다"며 "2단계 거리두기 정도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역 효과가 확인됐고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마스크착용과 손씻기, 2m 거리두기 등 개인방역"이라고 말했다.
 
즉 이미 개인방역 정도만으로도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경제적 타격과 사회적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고강도의 방역단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주 실장은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에 치중하기보다 중환자로 전환되기 쉬운 60세 이상 연령군 등 고위험 집단과 고위험시설 대상의 자세한 방역지침과 사회적 보호정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고위험시설로는 요양병원과 정신병원 등을 꼽았다. 두 의료기관 모두 고위험군인 노령층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특히 요양병원은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 증가세의 중심 서 있으며 정신병원도 폐쇄적인 특성상 집단감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중환자 진료, 전담치료병상 최소 400개 확대‧진료지침 명확화해야
 
수도권 중증환자 전원수용 상황 (08.21.~09.16.). 사진=주영수 기획조정실장 발표자료

그는 중환자 진료와 관련해서도 코로나19 전담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고 병상 당 훈련된 중환자간호사를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전원 환자의 수용 과정에서 공공의료기관들이 큰 역할을 수행한 반면 민간 상급종합병원의 역할분담도 필요하다는 주장도 펼쳤다.
 
주 실장은 "현재 중수본에서 확보하고 있는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은 140개로 이를 최소 300~400개로 확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최근 수도권의 315명까지 확진자가 발생하고 총 7000여 명의 환자를 140개 중환자 병상에서 감당하고 있는 경험을 토대로 추산해 봤을 때, 400개의 중환자 병상이 있다면 1000명의 최대 확진자 발생곡선까지도 충분히 감당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그는 "병상 확보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만약 중환자 병상을 200개 새롭게 확보했다면 1000명의 훈련된 중환자간호사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42개 상급종합병원은 지금부터 의무적으로 지속적인 '중환자간호사 양성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전했다.
 
현재 중환자간호사 양성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한 상급종합병원은 42개 중 11개에 그친다. 주 실장은 "정부는 끊임없이 요청하고 있지만 어려움이 많다. 정부입장에서 민간의료기관들에 중환자간호사 훈련을 강제할 수 있는 규정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주 실장은 “수도권 중증환자 전원 수용 상황을 보면 대부분이 국립중앙의료원과 서울의료원에서 전원을 담당해 환자를 수용했다”며 “종합병원에서 일부 도움을 줬으나 한계가 많았다. 공공의료기관이 아니었다면 실질적 환자 전원이 원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환자 진료지침에 대해서도 환자들의 2차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료진이 레벨D 수준의 방호복을 입게 되면 몸이 둔해져 혈관주사도 제대로 놓지 못하는 부작용이 있다. 의료진의 방호복 레벨 기준의 최소화가 필요하다"며 "코로나19 중환자실 재원기간과 관련해서 외국은 평균 10일 내외이나 우리나라는 평균 20일 이상 수준이다. 재원기간의 최소화 등 기준도 필수"라고 전했다.
 
PCR 검사 대신 신속항원검사 도입해야…검사시간 획기적 단축
 
시간 소요가 많아 낮은 빈도로 검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높은 분석민감도 검사법(PCR)과 높은 빈도로 검사할 수 있는 낮은 분석민감도 검사법(RAT)의 비교. 사진=주영수 기획조정실장 발표자료.

향후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려면 검사방법의 변화도 필요하다는 제언도 했다. 그 대안이 신속항원검사(RAT, Rapid antigen test)다.
 
기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PCR검사는 표적 핵산을 증폭해 검출하는 검사법으로 민감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검사결과가 나오기 까지 최대 2일이 소요된다.
 
반면 신속항원검사는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단백질 일부 항원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15분이면 검사결과를 알 수 있다. 가격도 5달러에 그쳐 미국에서는 해당검사방법이 코로나19 사태를 전환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로 급부상하고 있다.
 
주 실장은 "집단감염 상황이 심각해지고 확진자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상황에서 검사결과를 이틀 뒤에 알 수 있다는 것은 신속한 방역 대처를 지연시키는 PCR검사의 고질적 한계"라며 "신속항원검사가 민감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바이러스 유무와 감염력을 찾는 용도로 쓰면 거의 뒤쳐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존에 PCR검사에 의존하고 있던 선제적 검사방법을 신속항원검사로 대체한다면 감염 가능성이 있는 이들을 신속히 찾아낼 수 있다"며 "사회적 방역의 관점에서 고위험 집단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집단감염을 선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