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입국비 요구하는 수련병원... 1억 이상 요구받은 전공의 무려 10명

대전협, 28일 전공의에게 금전 요구하는 의국 관행 실태조사 결과 공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대한전공의협의회는 28일 전공의들이 100~1000만원을 입국비로 가장 많이 강요받는다고 밝혔다. 입국비 실태조사에 따르면, 수련병원은 전공의를 대상으로 입국비를 명목으로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최대 수천만원까지 요구했다. 1억원 이상을 입국비로 요구받은 전공의도 무려 10명이나 되는 것으로 파악 됐다. 입국비는 의국에 들어갈 때 내는 비용을 뜻하는 말로 엄연히 불법이지만 수많은 의국에서 관행적으로 입국비를 걷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협은 전공의 회원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에 약 2주간 입국비 실태조사를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다. 입국비 실태조사는 전국 70여 개 수련병원의 500여 명의 전공의가 참여했다.

실태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응답자 96.1%는 입국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7.1%는 현재 근무하는 병원의 다른 과에 입국비 문화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봤다고 응답했다. 

전공의들이 강요받는 입국비 액수는 100~1000만원이 66.1%로 가장 많았다. 1000~5000만원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19.2%에 달했다. 50~100만원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7.1%,  5000만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3.3%인 것으로 나타났다. 1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전공의도 10명이나 됐다.

현재 근무하는 전공과에 입국비 문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그렇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37.1%였다. 전공의가 내야 하는 입국비는 100~1000만 원이 47.1%로 가장 많았고 50~100만 원이 16.7%로 뒤를 이었다. 50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한 한 응답자는 2000만 원씩 현금 2회와 1년 치 밥값을 지불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입국비 지급 방식은 계좌이체가 70.8%로 가장 많았다. 현금 13.7%, 본인 명의의 카드 7.8%가 뒤를 이었다. 기부금 명목으로 카메라, 컴퓨터 등 의국 물품을 구매하도록 종용한다는 의견도 다수 확인 됐다.

실태조사 결과, 전공의들은 의국에 들어가기 위해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5000만원 이상 금전을 입국비로 내야 하는 것으로 파악 됐다. 그러나 입국비 사용내역은 불투명했다. 응답자 중 입국비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는 답변 비율은 23.3%에 그쳤다. 전공의 4명 중 3명은 자신이 낸 입국비의 사용처를 알 수 없었다.

전공의들은 입국비를 종용하는 관행이 사라져야 한다면서도 의국 내에서 따돌림을 당하거나 교수의 강요, 입국 불가 등 불이익이 두려워 마지 못해 입국비를 낸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 81.3%는 입국비 문화가 없어져야 한다고 답했다. 

전공의 A씨는 "입국비를 내지 않으면 분과 결정 시 원하는 곳이 아닌 분과를 선택하게끔 종용한다"고 말했다.

전공의 B씨는 "입국비를 내는 것 자체가 불이익이다"며 "안 낼 수 없으니 내지 않아서 불이익을 받을 일도 없다"고 비판했다.

전공의 C씨는 "입국비가 수련 과정에 필요한 교과서 및 개인물품 구매에만 사용되면 괜찮지만, 그 외의 목적으로 쓰이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사용내역의 투명한 공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공의 응답자의 72.3%는 의국 운영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병원에서 지원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병원 복지 차원에서 전공의에게 직접적으로 지원해주는 비용이나 혜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2.4%에 불과했다.

전공의 D씨는 "병원에서 지원하는 의국비는 과장만 안다"며 "의국비는 본인이 쓰고, 정작 의국에 들어가는 비용은 전공의로부터 걷은 입국비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의국에 들어가는 시기인 3월을 앞두고 대전협으로 들어오는 입국비 제보 역시 끊이지 않고 있다.

대전협 이승우 회장은 "새로 입국하는 레지던트 1년차로부터 적지 않은 금액을 강요받았다는 제보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 이와 다르지 않게 전문의를 취득하고 나가는 레지던트에게도 퇴국비를 걷는다는 제보도 많다"며 "사용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면서 돈을 걷어가는 부조리한 문화가 아직도 남아있다는 것은 의료계에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일부 의국에서는 교수님이 먼저 이런 관행을 없애고자 노력해서 사라지는 사례도 있고, 병원 차원에서 의국 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며 "이제는 학회, 수련병원이 보고만 있지 말고 앞장서서 자정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 전공의 또한 당연하다는 듯이 잘못된 문화를 물려주지도 받지도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