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관절 골절 최초 발생자 중 17.4%가 1년 이내 사망”

건보공단·대한골대사학회, 빅데이터 활용한 공동연구 방안 발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재골절 분석결과고관절 골절 최초 발생자 중 17.4%가 1년 이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골대사학회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9년간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연구결과를 22일 발표했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양상을 분석했으며 골다공증 골절은 ICD-10 질병코드 및 부위별 의사 행위 청구자료를 기준으로 정의했다.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골다공증 골절 발생 양상’은 50세 이상에서 인구 1만 명당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은 2008년 148.0건에서 2011년 180.4건으로 증가한 이후 정체 양상을 보이다 2016년 152.9건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척추(88.4명), 손목(40.5명), 고관절(17.3명), 상완(7.2명) 순이었으나, 연령대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50대에는 손목 골절이 주로 발생했으며 고연령으로 갈수록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률이 증가했다.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08년 82.5건에서 2011년 99.4건으로 증가한 이후 다소 감소, 2016년에는 88.4건으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고관절 골절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 명당 2008년 18.2건에서 2012년 20.5건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추세로 이어져 2016년에는 17.3건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했던 총 13만5273명을 4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 재골절은 1년 이내 5838건, 2년 이내 1만574건, 3년 이내 9019건, 4년 이내 8129건으로 골절 환자 1만 명당 재골절은 1년 이내 432건, 2년 이내 1213건, 3년 이내 1880건, 4년 이내 2481건이 누적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21.5%로 여성 15.5%보다 1.4배 높았고 척추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도 남성이 10.1%, 여성이 4.3%로 남성이 2.4배 높았다.
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재골절이 고관절 골절인 경우에는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27.9%로 여성 14.3%보다 약 2배 가량 높았다. 재골절이 척추골절인 경우에는 1년 이내 사망률이 남성은 10.7%, 여성 4.2%로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는 일차 골절의 양상과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건보공단 김용익 이사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골절 및 재골절 예방을 위해 정책적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 고관절골절 # 대한골대사학회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