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 많지만 의사·치료법 부족…美수가체계 적용시 디지털치료제 10주 300달러

해피파이헬스 디지털치료제센터장 환자모니터링 효용성 제시…국내 산업부도 미래먹거리 지원으로 리스크 관리·가이드 제공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디지털치료제(디지털치료기기·DTx)는 정신질환, 만성질환 등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은 부족한 영역에서 상당히 도움이 되며, 의사들은 이를 활용하면 미국 수가체계 기준으로 10주 프로그램을 통해 300달러 이상의 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에서도 이 같은 효용성을 고려해 크고 작은 기업들이 디지털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도 미래의 가치를 염두에 두고 적극적인 지원체계를 마련, 시행 중에 있다.

디지털치료제 활용하면 환자는 물론 의사도 이득 추계로 분석 

해피파이헬스 크리스 와스덴 CEO는 18일 열린 2021 연세글로벌 DTx심포지엄에서 디지털치료제를 활용시 환자는 물론 의사에게도 이득이 되며 CPT 코드 수가를 적용해서 디지털치료제로 얻는 이익을 추계했다.
 
사진 = 해피파이헬스 크리스 와스덴 대표 2021 연세글로벌 DTx심포지엄 갈무리

크리스 와스덴 대표는 "기존의 의료서비스를 측정기반의 관리로 옮겨야 하는 시점이며, 가치기반의 지불 방식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정신건강영역에서 의사의 치료를 받으려면 1개월의 대기가 필요하며, 그마저도 치료 약물이 SSRI, SNRI 등으로 제한적이고 이 역시 3분의1만 효과가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정신과의사 중 18%만이 실제 환자의 결과를 측정하고 있다"면서 "기저질환을 동반한 정신질환자들은 치료비용이 두 배 이상 드는 경제적 어려움도 있다"고 부연했다.

와스덴 대표는 "이 같은 문제를 디지털치료제로 해결할 수 있다"면서 "디지털치료제를 치료 과정에 적용하면 환자의 행동적, 신체적 건강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밀의료를 제공해 치료 결과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환자들은 의료의 디지털화를 원하지만 디지털치료제의 사용 확산은 막혀 있는 상황이다.

와스덴 대표는 "지불자들이 그 원인 중 하나다. 임상의들은 수가화 없이는 이를 처방하거나 활용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 최근 설문조사에서 임상의사 3분의 2가 수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면서 "다행히 최근 일부 국가들이 디지털치료제의 수가화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와스덴 대표는 "디지털치료제는 현재 제약산업의 모델과는 다른 방식으로 수가화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CPT(Common Procedural Technology) 코드를 적용한다면 활동에 대한 보상이 가능해져 의료관행도 변화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존 CPT코드를 적용해서 해피파이의 제품의 수가 적용을 고려하면, 10주 동안 300 달러 이상이라고 추계했다.

와스덴 대표는 "투여와 관련된 코드를 적용하면 2주 동안 10번 투여시 54달러의 수가를 받을 수 있으며, 환자관리개선 코드를 적용하면 111달러를 보상받게 된다"면서 "가상환자 사후관리 수가도 받을 수 있다. 의사 아닌 직원 누구라도 가상으로 20분 이상 할애하면 48.65달러를 받는 코디며, 매달 20분씩 두 달치 치료비 97달러를 청구가능하며 10주동안의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263달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국가들이 의사는 부족한 반면,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정신건강장애 인구의 증가 등으로 공급은 적고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디지털치료제를 통해 의료관행을 변화시킬 수 있다. 혁신적 디지털치료제가 나오면 연중무휴 의료접근성이 높아지고 임상적으로도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지며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약물에 대한 청구권이 제한적인 제약사들은 환자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치료제를 활용 중이다. 많은 증상을 약물이 해결해주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화시키기도하는데, 디지털치료제를 통해 여러 증상에 대한 다양한 범위의 치료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다발성경화증 약물인 DMT는 재발 빈도, 강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는데, 사실상 질병과 관련된 삶의 질 문제는 재발이 아닌 매일 겪는 불안, 우울증, 피로, 고통, 이동성, 인지기능, 운동기능 등이다. 와스덴 대표는 "제약사들이 디지털치료제를 제공해 약물치료 이상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비용은 제약사가 지불하기 때문에 환자들 무료로 사용하면서도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국내 산업부 디지털치료제의 '미래가치' 고려해 4개년의 체계적 지원 추진 강조
 
사진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지훈 의료기기헬스케어PD 2021 연세글로벌 DTx심포지엄 갈무리

이 같은 디지털치료제의 효용과 미래 가치, 의료비 절감 등을 고려해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R&D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산업부는 단순히 개발비 지원을 넘어서 글로벌 진출까지 염두에 둔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지훈 의료기기헬스케어PD는 "사업 설계시 자금을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안전성, 유효성 평가 요소를 지원하고, 사이버보안과 경제성, 환자중심성 연구에 대한 컨설팅 자문 등도 지원한다. 이외에도 해외의 라이센스아웃과 라이센스인 절차에 대한 지원, 인허가 가이드라인 마련, 개발 단계별 다학제 지원 사례집을 구축을 통해 상용화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밝혔다.

박 PD는 "3년전 식약처 허가를 받았음에도 임상현장에 진입하지 못한 인공지능 의료기기가 있다. 이 같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개발단계에서부터 경제성평가, 비용평가를 하고, 상용화에 이어 보험체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경제성 평가방법 등도 지원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연차별로 보면 제품 개발이 진행될 때마다 총괄과제의 역할도 바뀌는데, 1차년도는 과학적인 기전과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하는 방안, 2차년도는 비즈니스 모델을 정교화하고, 3차년도는 임상효과를 검증하며 4차년도에는 인허가와 상용화,  라이센스아웃 등을 같이 노력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박 PD는 "2차년도부터는 탐색임상을 통해 신속화를 지원하고 3차년도는 작용기전별로 평가지표를 마련해 효과 검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4차년도 제품들은 해외진출에 초점을 맞춰서 상용화 가이드라인 제시할 예정"이라며 "4년차 정도에는 2~7개 정도의 디지털치료제가 임상현장에 나오고 실사용 근거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될 것이며, 하나 이상의 제품은 라이센스아웃 등으로 해외시장에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외에도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바이오마커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개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등 개발형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산업부가 이같이 가이드 역할을 하고 전반적인 지원을 하는 이유는 디지털치료제의 미래가치와 리스크 때문이다.

박 PD는 "정부가 산업 발전을 위해서 지원대상을 정하는 기준은 리턴과 리스크다. 디지털치료제 영역은 민간의 역량이 낮고 산업이 아직 발달하지 않은 영역이다. 게다가 불확실성 높고 국내 산업 기반도 미약하지만, 성공시 성과가 크고 미래성장동력으로 확보해야 할 분야라고 판단해 체계적인 지원을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