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와 혼란 속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력 극대화…"제대로된 지침 나오면 경쟁력 충분"

CGT 비롯한 첨단바이오 시장 매년 두자릿수 성장률 지속…관련 평가법·표준화 등 규제과학 연구개발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박기대 첨단바이오융복합연구과 연구관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줄기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으로 제약시장의 중심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산 신약을 내놓기 위해서는 관련 규제와 지침(가이드라인) 마련이 우선이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박기대 첨단바이오융복합연구과 연구관은 최근 2022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 컨퍼런스에서 이 같은 규제과학 중요성을 인식하고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 전망과 함께 현재 연구 중이거나 개발 예정인 가이드라인을 소개했다. 

첨단바이오의약품은 크게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제제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 등이 있다.

세포치료제는 사람 또는 동물의 살아있는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증식하거나 선별하는 등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조작해 제조한 의약품이다.

유전자치료제는 유전물질의 발현에 영향을 주기 위해 투여하는 것으로 유전물질을 함유한 의약품 또는 유전물질이 변형·도입된 세포를 함유한 의약품으로, 킴리아가 대표적이다.

조직공학제제는 조직의 재생, 복원 또는 대체 등을 목적으로 살아있는 사람 또는 동물의 세포나 조직에 공학기술을 적용해 제조한 의약품이며,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는 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조직공학제제 등이 의료기기와 물리적·화학적으로 결합해 이뤄진 의약품이다.
 

국내 생산실적 지난해 이뮨셀엘씨주가 최고…국내외 모두 CGT 대세 자리매김 

표 = 2021년도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

국내에서 제조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은 총 15개로, 모두 세포치료제에 해당한다. 지난해 생산실적은 총 835억원이었으며, 이중 지씨셀(GC셀)의 이뮨셀엘씨주(엘씨자가혈액유래티림프구)가 432억77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메디포스트의 카티스템(동종제대혈유래중간엽줄기세포)이 195억2848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테고사이언스의 칼로덤(사람유래피부각질세포)은 지난해 생산실적이 69억8972만원, 코아스템 뉴로나타-알주(자가골수유래중간엽중기세포) 56억5142만원, 바이오솔루션 케라힐(바솔자가피부유래각질세포), 케라힐-알로(바솔동종피부유래각질세포),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 등이 각각 33억2817만원, 21억4452만원, 7억3995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수입 허가를 받은 제품은 킴리아, 럭스터나, 졸겐스마 등이 있으며, 모두 노바티스 제품이다. 이중 지난해 킴리아주만 30만달러(약 4억원)의 수입 실적이 잡혔다.

국내 시장은 비교적 작은 편이지만 앞으로 높은 성장이 예고되며,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역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실제 오는 2024년 연평균 8.5% 증가해 3880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32%, 100대 의약품에서 50%의 비중을 차지하는 등 향후 바이오의약품이 제약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특히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성장세는 더욱 가파를 것으로 예측된다. 실제 세포·유전자치료제는 글로벌시장에서 연평균 22.7%씩 성장해 2026년 21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국내 역시 오는 2025년 7억2000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종이식제제, 생균치료제, 세포배양의약품 등도 연평균 두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크게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첨단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 뒷받침 위해 관련 가이드라인 R&D 추진 중


현재 정부는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공급을 지원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 R&D를 추진 중이다. 선제적인 품질평가 기술을 개발해 전주기 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제품화 촉진을 위한 평가법 등 평가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R&D 현황에 따르면 연구비 645억2200만원 중 자체 연구는 44개고 연구비는 100억9700만원을 투자했다. 용역연구과제는 93개로 연구비는 482억7800만원, 출연연구 과제는 4개, 61억4700억원이다.

연구비 투자를 제제별로 분석하면 세포치료제가 29%(187억5600만원)로 가장 많았고, 첨단바이오의약품(CGT, 세포·유전자치료제) 18%, 유전자치료제 12%, 조직공학 9%, 유전자재조합의약품 8% 순으로, 사실상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가 전체의 절반 이상(59%)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 관련 R&D 추진 계획

박 연구관은 "이를 토대로 유전자치료제 비임상시험 평가 가이드라인,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생균치료제의 임상시험 품질 가이드라인, 줄기세포치료제 종양원성 평가 가이드라인, 임상시험용 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등 첨단바이오의약품과 관련된 23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첨단바이오의약품 제품화, 파이프라인 등 개발현황을 비롯해 첨단바이오의약품 관련 규제과학 정보, 인실리코 예측평가 모델 등 국내외 규제 현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유세포분석법을 이용한 인간섬유아세포 유래 신경줄기세포의 확인시험법, qPCR을 이용한 신경줄기세포의 확인시험법,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의 동물원설 물질 포함여부 시험법 등 지난 3년간 60여개의 첨단바이오의약품 관련 시험법을 개발했다"고 부연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R&D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올해까지 4억원을 투입해 세포당사슬 피노타이핑 기술 기반 세포치료제 품질관리 연구를 마무리하고, 각각 5억9000만원을 배정해 첨단바이오의약품 원료세포의 특성분석 및 품질평가 시험법 마련 연구, 줄기세포치료제의 유전적 안정성 평가 시험법 고도화연구를 내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는 일반 정보 수재(안) 마련과 감염원관련 품질시험법 개선, 융복합 의료제품 평가기술 고도화, 항암면역 관련 치료제의 품질·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등의 연구를 추진한다. 이들 연구는 오는 2024까지 진행하며, 평가기술 고도화와 평가기술 개발 등의 연구에는 각각 42억원, 24억원의 대규모 비용을 투자할 계획이다.

박 연구원은 "유전자치료제와 관련해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 품질평가 기술 개발과 안전성 평가기반 마련 등의 연구를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내년까지 19억5000만원을 투입해 유전자치료제 품질 표준화 기반 마련에 대해 출연연구를 추진한다"면서 "첨단바이오의약품과 관련한 평가법과 표준화사업이 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종이식제제와 관련해 관리기준을 내년안에 만들어 발표하고, 바로 이어 이종이식제제 면역원성 평가연구도 수행해 2024년까지 마련할 계획"이라며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등 생균치료제에 대한 평가기술, 품질평가 기반 등도 마련하고 이외에도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와 세포기반 인공혈액 등의 품질 관리와 평가에 대한 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규제과학 뒷받침된다면 글로벌 첨단바이오시장에서의 경쟁력 충분할 것"


가톨릭대의대 기능성세포치료센터 오일환 교수는 최근 세포치료제 개발 동향을 설명하고, 충분한 잠재력이 있어 규제과학이 뒷받침된다면 글로벌 시장에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 교수는 "세포기반 재생치료제는 긴 제조기간과 높은 생산 비용, 복잡하고 까다로운 제조공정·품질관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게다가 체내 주입 후 임상적 유익성은 뚜렷하지 않으나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 분포·증식할 수 있고, 다양한 요인에 기인해 장기적으로 종양이 발생할 위험도 있다"고 운을 뗐다.

오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 맞춤형줄기세포치료(다이렉트 컨버젼) 등 줄기세포의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와 도전이 이어지고 있으며, 기존 제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RNA를 활용한 융복합 제제, 엑소좀 기반 재생치료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표준치료로 자리잡은 줄기세포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안전성은 입증하더라도 유효성을 입증한 사례는 적은 상황이며, 아직까지 환자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유효성을 갖춘 제품은 나오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오 교수는 "활성대조와의 직접적인 비교가 없다면 임상시험의 측면에서 유익성이나 위험정도를 적절히 평가할 수 없고, 유익성과 위험성에 대한 정확하고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면서 "신약을 개발할 때 반드시 적절한 대조군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가용한 치료법 대비 유의한 개선(유효성)을 검증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검증체계, 즉 국가안전망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는 의미다.

오 교수는 "줄기세포치료제 대부분이 조건부 허가를 받았고, 일부 제품은 오프라벨(허가초과)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지난 20년간 많은 혼란 속에서도 관련 기술과 경험을 많이 축적했고 잠재력이 큰 만큼, 규제와 지침을 정리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첨단바이오에 대한 규제 합리화와 선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때"라고 제안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