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약가, 미국 보다 3.05배 낮지만, 제네릭은 3.13배 높아"

미국, 한국 등 33개 OECD 국가별 약가 수준 비교 결과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미국은 전문의약품의 매출액과 처방량이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며, 매출액은 브랜드의약품(오리지널), 처방량은 제네릭의약품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미국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과 달리 브랜드제네릭에 대한 매출액과 처방량이 많았다.

특히 미국의 약가는 한국 보다 3.05배 비쌌으나, 제네릭만 놓고 비교하면 한국이 3.1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바이오협회 오기환 전무·한국바이오협회 산업정책부문 염지원 과장은 '미국, 한국 등 33개 OECD 국가별 약가 수준 비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33개 OECD 국가의 전문의약품 매출액은 7952억 달러며, 이중 미국이 4640억 달러로 전체의 58.4%의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에 이어 2위는 732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일본(점유율 9.2%), 3위는 399억 달러를 기록한 독일(5.0%), 4위는 프랑스, 5위는 이탈리아, 6위는 영국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OECD 33개국 중 9위로 2018년 기준 136억 달러로, 1.7%의 비중을 기록했다.

물량으로 전문의약품 매출을 분석하면, 2018년 기준 33개 OECD 국가의 전문의약품 매출 물량은 1조 162억 유닛이었으며 미국이 2434억 유닛으로 24.0%의 비중을 차지했다.

2위는 2137억 유닛을 기록한 일본(점유율 21.0%), 3위는 639억 유닛을 기록한 터키(6.3%), 4위는 영국, 5위는 독일, 6위는 프랑스 순이었으며, 한국은 459억 유닛의 물량을 기록해 4.5%로 7위였다.

전문의약품을 브랜드의약품(brand-name originator drug), 브랜드제네릭(brand-name non-originator), 제네릭의약품(unbranded non-originator)으로 나눠 보면, 미국은 브랜드의약품 매출 비중이 82%로, 브랜드제네릭 6%과 제네릭의약품 12%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다.

여기서 브랜드제네릭은 브랜드네임을 가지고 판매되는 제네릭을 말하며, 미국 허가 프로세스 상의 505(b)(2)로 허가된 의약품으로 '개량신약'도 여기에 포함돼 있다.

한국은 브랜드의약품 매출 비중이 51%로 33개 OECD 평균 78%에 비해 낮은 편에 속했으며, 브랜드제네릭의 비중은 43%로 33개 OECD 평균 9%에 비해 높은 특징이 나타났다. 미국을 제외한 32개국의 브랜드의약품과 브랜드제네릭 매출액 비중이 각각 73%와 13%인 것과 극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미국의 전문약 매출 물량 비중을 보면 브랜드의약품은 11%로 33개 OECD 국가 평균 27%에 비해서 낮은 반면, 제네릭의약품은 84%의 비중을 보여 다른 나라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국은 브랜드제네릭 매출 물량 비중이 66%로 33개 OECD 평균 26%에 비해서 높은 반면, 제네릭의약품은 7%로 33개 OECD 평균 47%에 비해 낮았다. 미국을 제외한 32개국의 브랜드제네릭 및 제네릭의약품 매출 물량 비중이 각각 32%와 35%인 점과 비교했을 때도 차이를 보인다.

미국의 약가 OECD 대비 2.56배·한국 대비 3.05배 높아…제네릭은 한국이 1.19배 높게 책정
 
미국 기준의 OECD·한국 약가 수준(%)

각 국가별 약가를 분석한 결과, 미국은 OECD 32개국에 비해 전문의약품 약가가 256%, 즉 2.56배 높게 나타났다. 브랜드의약품의 경우 344% 높고, 미국 매출 상위 60품목은 395%, 바이오의약품은 295% 높았다.

제네릭의약품(바이오제외)은 OECD 32개국 약가의 84% 수준으로, OECD 32개국의 제네릭의약품(바이오제외) 약가가 미국에 비해 1.19배 높게 형성됐다.

미국과 한국을 비교하면, 미국의 전문의약품 약가가 한국보다 305%, 즉 3.05배 높았다. 브랜드의약품의 경우 533% 높고, 미국 매출 상위 60품목은 579%, 바이오의약품은 453% 높았다.

제네릭의약품(바이오제외)의 경우에는 한국 약가의 32% 수준으로 저렴했으며, 비브랜드의약품의 경우에는 한국의 57% 수준의 약가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미국이 한국에 비해 얼마나 약가가 형성됐는지를 보여준 결과를 한국을 기준으로 바꿔보면, 한국은 미국 약가의 32.8% 수준"이라며 "세부적으로 보면 한국의 약가는 미국에 비해 브랜드의약품은 18.8%, 바이오의약품 22.1%, 非바이오의약품 41.2%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제네릭의약품(바이오제외)은 313.28%(3.13배), 非브랜드의약품은 174.83%(1.75배)로, 한국의 약가가 미국에 비해 높게 형성돼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자료는 미국의 연구기관인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가 정책적 활용을 위해 미국 보건부 지원을 받아 미국과 OECD 국가간 약가를 비교해 2021년 1월 비상업적 목적으로 발간한 보고서를 요약한 것이다. 원 보고서에는 OECD 국가 중에서 미국을 비롯해 33개 국가가 포함돼 있으며, 사용된 약가 및 물량 출처는 2018년 기준 아이큐비아(IQVIA MIDAS) 데이터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