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환자 10명 중 4명은 첫 병원서 치료 못해…365일 치료체계 갖춰야"

뇌졸중학회 "뇌졸중집중치료실을 갖추고 있는 병원 42.5% 불과…응급의료센터 30%가 24시간 진료 못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한뇌졸중학회가 최근 발생한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사건을 계기로 ' 365일 작동하는 뇌졸중치료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에선 뇌졸중환자의 40%가 첫 병원에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학회는 4일 성명을 통해 "이번 사례와 비슷한 경우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뿐 실제로는 비일비재 하였다.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대형대학병원에서도 이런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할 정도이니, 상대적으로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은 어떨 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자료에 따르면 뇌경색 환자의 15-40%는 첫번째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골든타임이 지난 후 다른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학회는 이런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24시간 365일 작동하는 뇌졸중 치료체계의 부재를 지적했다. 

해당 체계가 시행되기 위해선 우선 내원 즉시 뇌졸중 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항상 뇌졸중집중치료실 및 신경계중환자실이 일정 부분 비어 있어야 한다. 또한 수술적 치료나 중재술을 시행할 수 있는 공간 (수술실, 뇌혈관조영실) 역시 항상 일정 부분이 비어 있어야 하고, 치료 인력도 필요하다. 

학회는 "대다수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병원에서 365일 작동하는 치료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다"며 "거의 모든 상급종합병원이 응급수술이 필요한 뇌졸중 환자를 위해 수술장과 중환자실을 즉시 준비할 수 없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응급 수술이나 시술에 필요한 인력을 포함해서 급성 뇌졸중의 치료에 필요한 인력이 부족한 것은 오래된 얘기"라고 설명했다. 

지난주 발표한 심평원의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 결과에 의하면 뇌졸중집중치료실을 갖추고 있는 병원은 233개 평가대상병원 중 42.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고, 학회의 직접조사에 의하면 전국 163개 응급의료센터 중에서 30% 이상이 24시간 뇌졸중 진료가 가능하지 않았다.

학회는 "올해 5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소위 뇌졸중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무엇보다, 중앙-권역-지역센터에 이르는 전달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학회는 "전달체계에 소속한 모든 구성원이 발병 후 치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과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및 장애의 감소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거버넌스를 재편해야 한다. 무엇보다 응급의료체계와 심뇌혈관질환치료체계의 연계가 시급하다"고 전했다. 

뇌졸중학회는 "만성적인 저수가와 인력부족의 문제도 해결해야한다. 뇌졸중집중치료실의 수가보다 간호간병통합병동의 수가가 더 높은 현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뇌졸중의 응급진료를 감당해야하는 수련병원의 신경과전공의 숫자를 늘려야 하고, 전공의 부족을 전문의 당직근무를 늘려 당장의 어려움을 피하려는 방식은 결국 뇌졸중 전문의 숫자의 감소로 이어질 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