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경계'였던 체질량지수, 이제는 '1단계 비만'으로 진단

대한비만학회, 비만진단기준 3단계로 구분

사진 : 대한비만학회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대한비만학회가 현재 2단계로 구분하고 있는 비만진단기준을 3단계로 구분하고, 비만 경계에 해당하는 체질량지수(BMI)를 1단계 비만으로 진단하는 등의 새로운 비만진료지침을 공개했다.
 
학회는 지난 6일 서울 디큐브시티호텔에서 개최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한국형 진료지침 개발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해당 내용을 발표했다. 학회는 건보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약 2000만명 이상의 코호트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와 함께 2018년 비만진료지침을 소개했다.
 
학회는 앞으로 정상체중의 체질량지수를 BMI 18.5∼22.9kg/㎡로 보고, BMI 23∼24.9kg/㎡는 비만 전단계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BMI 25∼29.9kg/㎡는 1단계 비만, BMI 30∼34.9kg/㎡가 2단계 비만, BMI 35kg/㎡ 이상은 3단계 비만으로 구분한다.
 
기존에는 체질량지수(BMI)가 25 kg/㎡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했다. 더불어 허리둘레 기준으로는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정의했다.
 
학회는 "2000만 이상의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검자를 전수 조사해 관찰한 BMI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 등을 반영해 국내 비만기준을 보다 세분화했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BMI와 함께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과 사망위험의 관련성이 확인되면서 비만 전단계와 3단계 비만(고도비만)의 기준이 마련됐다는 것이다.
 
학회는 "약 2000만 명에 이르는 국내 성인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의 세 가지 질환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질 위험에 대한 분별점(Cut-off point)은 체질량지수 23kg/㎡로 확인됐다"며 "BMI가 정상이거나 비만전단계라고 하더라도, 허리둘레가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일 경우 동반질환의 위험은 1단계 비만 환자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한 학회는 허리둘레 증가에 따른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6개 집단(남성 80cm 이상, 여성 75cm 이상, 5cm 단위)으로 나눠 심뇌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새로운 심근경색과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 위험도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총사망률)이 허리둘레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학회는 "BMI가 정상이지만 허리둘레가 늘어날 경우 총사망률도 더욱 급격하게 증가해 허리둘레가 BMI 보다 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의 더욱 명확한 예측인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학회는 이날 건보공단 빅데이터로 조사한 약 50만명 표본 대상 코호트 분석 연구 결과인 '비만으로 인한 치료비용 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연구 결과, 비만 환자는 정상체중에 비해 연간 최대 50만 8781원의 의료비용을 추가로 지출했으며, BMI를 기준으로 3단계 비만일 경우 정상체중에 비해 14.3~50.1%의 의료비용이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허리둘레 비교에 따른 치료비용은 정상체중에 비해 최소 2.5%에서 최대 53.3%까지 증가해 결국 복부비만으로 인해 의료비용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연구를 주도한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 교수는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허리둘레의 분별점은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실제 위험을 반영한 복부비만 기준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국인에서 복부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예상보다 낮은 허리둘레 구간에서부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비만진단과 합병증 예방에 있어 BMI와 더불어 허리둘레를 고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운영실 강형수 실장은 "건보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는 환자들의 가족력, 혈액검사, 생활습관 등 전 국민의 질환 전 단계에 대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해 타 자료 대비 대표성과 정확성이 높다"며 "만성질환에 있어서 한국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공단의 빅데이터는 한국인에게 적합한 진단과 진료 기준 마련을 위한 최선의 근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만 # 비만진료지침 # 대한비만학회 # 건강보험 # 빅데이터 # 비만 # 진단 # 기준 # 체질량지수 # BMI # 복부비만 # 환자 # 치료 # 비용 #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email protected])필요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