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대 개교 100주년 가운데 태동한 피부과학교실의 주역, 서순봉 교수님을 기억하며

[경북의대 100주년 칼럼]⑥ 이원주 경북의대 부학장·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 주임교수

경북의대 100주년, 새로운 100년을 위해  

2023년은 경북의대 전신인 대구의학강습소로부터 개교 100주년이 되는 해다. 경북의대는 한 세기 동안 훌륭한 의료인과 의학자를 배출한 한국의 대표적인 명문 의학 교육 기관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지금까지 배출된 9000여명의 졸업 동문은 환자 진료 및 의학 연구에 매진해 국내외 의료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의대는 2023년 8월 27일부터 9월 3일까지 100주년 기념주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메디게이트뉴스는 경북의대 10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와 함께 지나온 100년을 기념하고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릴레이 칼럼을 게재한다. 

①권태환 경북의대 학장·경북의대 100주년 공동준비위원장
②박재율 경북대 의과대학 동창회장·중앙이비인후과 원장
③이재태 경북의대 100주년 자문위원단장·경북의대 핵의학교실 교수 
④김성중 경북의대 31대 동창회 수석부회장·대구 W병원 원장 
⑤김용진 경북의대 100년사 간행위원장·경북의대 병리학교실 교수
⑥이원주 경북의대 부학장·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 주임교수 
 


역사가 길어지다 보면 소속 기관의 모든 사람이 한 시대를 같이 살면서 모든 것을 공유하기는 어렵다. 경북의대도 이제 100년의 개교 역사를 가지다 보니 초기 역사는 기록으로만 접하게 되고, 많은 선배들의 발자취는 전해져 오는 이야기로 들을 때가 많다. 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의 역사도 이제는 그렇게 되는 것 같다. 그럼에도 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을 만드신 서순봉교수님을 개인적으로 만나뵐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나 스스로는 행운이고 기쁨이라고 생각한다.

필자가 경북의대에 입학했을 당시에는 이미 서순봉교수님이 정년을 하셔서 수업을 들을 기회조차 없었다. 하지만 피부과교실의 교수가 돼서 진균학을 같이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 다행히도 서순봉교수님을 직접 만나뵐 수가 있었다. 정년 후에도 칠곡가톨릭피부과의원에서 열심히 진균학 연구를 계속하며 후학을 양성하시고 환자를 진료하셨으니 필자에게도 그런 기회가 온 것이었다.

서순봉교수님은 늘 온유하시고 인자하시고 그 가운데 끊임없는 학문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이 넘치는 분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본인이 하지 못하셨던 진균의 일부 분야를 부탁하시는 학문에 대한 애정을 보이기도 하셨다. 여기 서순봉교수님을 기억하면서 경북의대 개교 100년을 맞이하면서 피부과학교실이 어떻게 태동되었고 서순봉교수님에 의해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지 기록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서순봉교수님은 1921년 경북 군위에서 태어나 대구 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를 1941년에 졸업한 뒤 대구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셨다. 1944년 9월 졸업을 하셨는데 당시 제13회 졸업생은 한국인 27명, 일본인 43명이었으니 한국인이 의학 공부를 할 기회를 가지기가 쉽지 않은 시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1923년 경북의대가 개교하면서 피부비뇨기과의 강의는 1924년부터 일본인 책뢰(柵瀨)교수에 의해 시작됐으며, 1933년 3월 대구의학전문학교 설립과 함께 경북의대 피부비뇨기과학교실의 초대과장을 책뢰(柵瀨)교수가 맡았다. 1945년 광복 후 대구의과대학으로 개칭되면서 한국인 교수가 임용됐는데 이상요(李相堯)교수가 과장이 됐고 그 다음에 이대부 (李大富)조교수가 과장이 됐다. 서순봉 교수님은 1946년부터는 대구의과대학에 발령받아 피부비뇨기과 부의무관을 거쳐 1949년부터는 전임강사로 재직했다.

당시 의사들에게는 내과, 외과 등이 인기가 있었고 아무래도 피부과에 대한 관심은 별로 없었던 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순봉교수님은 소외된 의료 영역이었고 미개척지였던 피부과학을 전공해 새로운 학문의 길을 열었다. 그 당시 한국 피부과학은 학문적인 체계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었고, 치료약품도 한정돼 있어 진료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한 가운데 1952년 대구의과대학이 국립경북대로 승인돼 학제가 개편됐고 서순봉 교수님은 경북대 의과대학 피부비뇨기과학교실 조교수로 승진했다.

서순봉 교수님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던 우리나라 피부과학의 발전을 꿈꾸면서 1954년 2월 멀고도 험한 미국 유학길에 오르셨다. 도미 환송 때에는 대구역 플랫폼에서 고병간 경북대 총장을 위시해 많은 교수들이 전송을 해줄 만큼 큰 일이었고 흔하지 않은 일이었다. 가족들을 남겨둔 채 경제적 어려움으로 항공편을 이용하지 못하고 미국 화물선을 타고 20여일 간의 항해 후 태평양을 넘어 미국에 도착하셨다. 1954년 9월부터 The Skin and Cancer Hospital of Philadelphia, Kansas University Medical Center, New York University Hospital, Bellevue Hospital 등에서 힘든 피부과전문의 수련과정을 이수하고 1956년 10월에 귀국하셨다.

그 후 서순봉 교수님은 낙후된 의과대학에 선진 미국 교육제도를 도입해 현대화된 학생교육을 시도하셨으며, 교수들의 학문 연구에 대한 의욕도 고취시키셨다.  1962년에는 비뇨기과학교실과 분리, 독립된 피부과학교실을 창설해 초대과장 및 주임교수로서 피부과학교실을 탄탄한 반석 위에 올려놓으셨다. 이때 정부시책으로 처음 도입된 피부과 전공의 제도에 따라 전공의 교육과 학문연구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셨고 진균과 나병에 관한 많은 논문을 발표하셨다. 가장 대표적인 논문은 “한국 피부사상균성 질환의 연구 1,2,3보”로 2년간에 걸쳐 전국적인 백선균의 분포와 실태를 조사해 1960년에 발표하셨다. 서순봉 교수님은 이 논문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셨으며 학위번호 3호로 경북대학교 교수로는 최초의 박사학위자가 되셨다.
도미환송(1954):대구역에서 도미 환송을위해 가족과 많은 교수들이 전송하였다. 좌로부터 부인, 서순봉, 부친 서해욱씨, 고병간 경북대총장
1955년 미국 유학 중 워싱턴에서 이성행교수님과 박희명교수님과 함께
 
1958년 당시 피부비뇨기과학교실

당시 피부과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었던 피부진균증(곰팡이증)은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으로 피부과에서는 표재진균증이 외래환자의 10~20%를 차지할 정도였다. 서순봉 교수님은 미국에서 습득한 새로운 지식을 이용해 진균학 연구에 매진하셔서 한국 진균학의 초석을 놓고 이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셨다.

1959년부터 2년간 전국적인 조사와 연구로 이뤄진 “한국 피부사상균성 질환의 연구, 제1보 두부황백선, 제2보 취모부백선, 제3보 한국 내 병원균의 총괄적 개관”은 서순봉교수님의 대표적 논문이다. 내용은 당시 광범위하게 만연된 두부백선에 대해 전국적으로 123개의 초등학교, 38개의 고아원과 피부과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역학적 조사를 실시한 것이었다.

이 논문은 현재까지도 진균연구에 기본자료가 되어 인용되고 있으며 외국에도 소개됐다. 이 외에도 1960년대 발표한 주요 논문으로는 울릉도 초등학생 백선조사(1961), 대기 중에 낙하하는 진균을 비행기를 이용해 고도별로 조사한 공중진균총(1965), 토양 중의 Keratophilic Fungi(1966), 인체 피부표면과 의류 내의 진균총(1967)등이 있다. 또한 고양이로부터 감염된 동물친화성 진균(1977), 비둘기 배설물을 통한 감염(1977), 레슬링 유도 씨름선수로부터 감염되는 인체친화성 진균(1995)은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이 분야의 논문들이기도 하다. 진균의 균종분리와 진단을 위해 고안한 기법을 발표한 논문으로는 두부백선의 hairbrush 배양법(1965), 토양균 분리의 baiting 방법(1968), 손발톱진균증 진단의 천자검사법(1979), 모발배양법(1982)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정확도가 높고 간편하게 응용할 수 있어 현재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과거 30년간 사상균의 변천과 변동에 대해 종합적으로 조사한 “우리나라의 피부사상균증과 원인균의 변천(1996)”이라는 논문을 통해서는 두부백선의 감소 등 피부질환의 흐름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80여 편의 진균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실 만큼 학문의 열정이 남다르셔서 오늘날의 우리나라 피부진균증에 대한 기초를 확립하셨다. 이렇듯 피부진균학의 기초연구와 임상연구 등에 공헌하심과 동시에 학문적 교류를 위해 대한의진균학회를 1994년에 창립하기도 하셨다.

피부진균증과 마찬가지로 한센병(나병)에 대한 서순봉교수님의 열정은 남다르셨다. 한센병은 나균에 의해 피부, 신경조직이 침범돼 신체적 불구와 추형이 발생해 사회로부터 외면당하고 버림 받게 만드는 질병이다. 환자들은 일본 강점기에는 소록도 등에 격리 수용돼 집단치료를 받아왔으나 해방 후 무질서한 사회혼란 속에 부랑환자가 돼 사회적인 문제로 신문에 자주 보도됐다. 서순봉교수님은 일찍이 경북 지역에서 나환자들을 진료하고 연구를 시작하셨다.

첫 연구논문으로 정착촌 애생원 수용환자 517명을 대상으로 병형, 연령, 초발증상, 출생지 등 체계적으로 자료를 조사해 1952년 8월 소록도에서 개최된 제1회 대한나학회에서 발표하셨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나이동진료반을 운영하면서 경북에 등록된 재가 및 집단 나환자 총 4017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경상북도 재가 및 집단 나환자의 역학적 고찰(1963)”이라는 논문에서 인구 1000명당 나환자 비율이 1.87명이라고 보고하기도 하셨다. 이 자료는 정부와 WHO의 한국나병정책에 이용됐고 외국에도 소개됐다.

이외에도 나균검사 성적(1958), DDS 치료효과(1962), 조기나의 병형분류와 외래환자 실태(1964), 나환자 발견을 위한 피부과 외래진료(1976)등 50여 편의 나병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셔서 나환자 조기발견에 많은 도움을 주셨다. 또한 서순봉 교수님은 지역사회 의료봉사자로 경북의대 피부과에서 나환자 외래진료를 실시하셨고 1962년에는 일부교수와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학병원 내에 영국 구라선교회(The Leprosy Mission) 병원을 유치해 개원하셨다. 이곳은 영국의 지원을 받는 나병전문기관으로 외래와 입원 나환자들을 의대교수들이 직접 치료, 수술하도록 운영한 곳이었다. 피부과 전공의와 의과대학생들도 실습과 교육을 통해 나병에 관심을 갖도록 하셨으며 1980년부터는 서울 등지의 피부과 전공의들이 교육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1963년에는 오지리(오스트리아)부인회 지원으로 나병전문기관인 칠곡가톨릭피부과의원을 개원하고 외래, 입원 나환자 진료를 담당하셨다. 1973년에는 영주에 다미안피부과의원을 개원해 경북 북부 나환자 관리를 하셨다. 이와 같이 서순봉교수님은 나환자 진료, 계몽, 나이동진료반 운영, 정착장 관리 등 정부 나사업에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로 오늘날 성공적인 한국 나병퇴치사업에 지대한 공헌을 하셨다. 서순봉교수님은 한국나병연구원 자문위원, 나학회 및 나관리협회 이사를 역임하셨으며, 1961년부터는 5년간 대한나협회 대구경북지부장, 1972년에는 대한나학회장을 역임하셨다. 1965년에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WHO의 제1회 서태평양 지역 나병세미나에 한국대표로 참석, 부의장을 맡아 한국 나병현황을 발표하셨다.

서순봉교수님은 진료와 연구 교육과 더불어 여러 보직을 맡아 학교와 병원 발전에 많은 노력을 하셨다. 1957년 의과대학 학생장 학감을 거쳐 1961년 부속병원장, 1969년 경북의대학장, 1984년 보건대학원장을 역임하셨다. 학회에서도 1950년대 미국 피부과전문의 과정을 이수한 원로 교수로 존경을 받으며 자문역할을 하셨고 1971년에는 대한피부과학회장, 1972년에는 대한나학회장을 역임하셨다. 이와 같이 교육자, 학자, 의사로서 그리고 사회봉사자로서 그 공적을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1960년 녹조소성훈장을 시작으로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 1975년 녹조근정훈장, 1967년 대통령표창, 1968년 경북문화상, 1970년 보건사회부장관상 등을 수여받으셨다. 이외에도 영국구라선교회, 서독구라협회, 천주교대구교구로부터 표창과 감사장을 수상하셨으며 2004년에는 경북의대 동창회로부터 자랑스러운 경북의대인으로 선정돼 제2회 안행대상 학술상을 수상하셨다.
 
1970년 피부과 전문의 수료 기념으로 찍은 사진으로 변함없는 의과대학 본관의 전경을 볼 수 있다.
안행대상 수상
서순봉 교수님은 41년간 경북의대에서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헌신하다가 1987년 2월에 정년퇴임하셨다. 퇴임 후에도 경북대학교 명예교수로서 칠곡가톨릭피부과의원에 진균의학 연구소를 부설해 각 대학교수들과 진균동정 및 공동연구를 시행하고 피부과 전공의, 병리기사 등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해 우리나라 진균학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셨다. 서울의 각 의대 피부과 전공의들도 진균학, 나병교육을 받기 위해 수 주간씩 파견공부를 하기도 하였다. 필자도 이렇게 참여한 사람 중 한 사람이다. 이와 같이 한국 진균학의 개척자이며 나환자 진료에 정열을 바친 오헌 서순봉교수님은 2007년 8월에 신장암으로 86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셨다. 부인 오대홍(吳大紅) 사이에 3남 1녀를 두었으며 퇴직 후에는 대봉교회 명예집사로 종교활동을 하셨다.

대한피부과학회는 서순봉의 학문적인 정신을 후학들이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유족들의 도움으로 “오헌학술상”을 제정해 2008년부터 매년 전국의 피부과 교수 중 진균학, 나병학 또는 기타 피부과학 분야에 우수한 업적을 쌓은 연구자 1명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그 연구 내용을 대한피부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석상에서 발표하고 있다. 필자도 2014년도에 오헌학술상을 수상해 그 연구내용을 2015년 대한피부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바 있으며 참으로 영광스러운 순간이었다.

본 내용은 필자가 경험하거나 자료를 수집하기가 쉽지 않은 내용이 많았다. 다행히도 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의 역사가 3분의 교수님이 정년퇴임하시는 동안 여러 기회를 통해 잘 정리돼 있었고 또 서순봉교수님 뒤를 이어 경북의대 피부과학교실을 잘 이끌어 주신 현재 경북대학교 명예교수이신 정상립교수님이 자세하고도 상세하게 기록해 놓으셔서 대부분의 내용을 인용해 정리했다. 
 
1994년 대한의진균학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1967년 대한나학회 학술대회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