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내과학회, "당화혈색소 목표 7~8%로 완화해야"

제2형 당뇨병에서 혈당 조절 위한 약물치료 목표 지침 업데이트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내과학회(ACP)가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당화혈색소(HbA1c) 목표를 기존 6.5~7% 미만에서 더 쉽게 달성할 수 있는 7~8% 수준으로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대한당뇨병학회의 진료지침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목표를 6.5% 미만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생활습관조절로도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즉시 혈당강하제를 시작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미국내과학회는 6일 공식 학회지인 미국내과학회지(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했다.

학회는 영어로 발간된 국가 가이드라인과 함께 미국임상내분비학회 및 미국내분비학회(AACE/ACE), 미국당뇨병학회(ADA), 스코틀랜드 대학간 가이드라인 네트워크(SIGN), 미국 국방부 및 원호부 등 흔히 사용되는 가이드라인 4개를 리뷰했고, 그 결과 4가지 지침서(Guidance Statement)를 공개했다.

먼저 임상의사는 약물요법의 혜택과 위해, 환자의 선호도, 환자의 전반적인 기대 수명, 치료 부담 및 치료 비용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목표를 맞춤 설정해야 한다.

두 번째로 제2형 당뇨병 환자 대부분에서 당화혈색소 수치를 7~8%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학회는 "대부분 가이드라인에서 당화혈색소 타깃 7~8%의 이론적 근거로 5개 연구를 언급하고 있다"면서 "종합적으로 보면 이들 연구에서 치료 목표를 7% 미만으로 했을 때 8% 미만보다 5~10년 뒤 사망 또는 대혈관 사건을 줄이지 못했으나, 저혈당을 포함해 상당한 유해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낮은 목표치(6.5~7%)를 권고하는 가이드라인에서는 더 적극적인 혈당 관리가 치료 몇년 뒤 대혈관 사건 발생을 감소킨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감소에 대한 근거에 일관성이 없고, 상당한 수준의 감소를 보이지 못했으며, ACCORD 연구에서는 6.5% 미만을 목표로 했을 때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로 당화혈색소 수치 6.5% 미만을 달성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약물 치료를 절제(deintensifying)해야 한다.

학회는 "당화혈색소 6.5% 미만을 목표치로 한 ACCORD 연구에서 가장 낮은 수준(6.4%)을 달성했지만 전반적인 사망과 심혈관 관련 사망, 심각한 저혈당 사건으로 조기 중단됐다"며 "ADVANCE 연구 역시 실패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임상 혜택을 찾지 못했고, 당화혈색소 중앙값이 7%일 때보다 6.4%일 때 부작용이 더 많았다"고 말했다.

또한 "더 낮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는 비용이 많이 들고 환자 부담을 증가시킨다"면서 "환자가 당화혈색소 6.5% 미만을 달성하면 용량을 줄이거나 약물 치료를 중단해 치료를 절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 치료는 반드시 고혈당증 관련 증상을 최소화하고, ▲고령으로 기대 수명이 10년 미만인 환자(80세 이상) ▲요양원에 있거나 치매, 암, 말기 신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울혈성심부전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혜택보다 위해가 높을 수 있어 당화혈색소수치를 목표로 하지 않아야 한다.

이와더불어 학회는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달성할 수 있다면 치료 목표를 낮추는 것이 적절하며, 임상의는 환자에게 운동과 체중 감량, 금연, 기타 생활 습관 변화의 중요성을 환자에게 강조해야 한다고도 전했다.

#미국내과학회

박도영 기자 ([email protected])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