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 독감처럼 변이+유행 지속…범용백신 개발 중"

고려대 박만성 교수 "유정란 기반 바이러스벡터 백신으로 경제적 측면도 고려"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독감바이러스처럼 지속적인 변이를 거쳐 매년 계절성 유행과 대규모 감염이 이어지는 만큼 이에 대응하는 범용 백신 개발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만성 교수는 10일 바이오코리아2021 백신세션에서 미래감염병 대비를 위한 백신 개발을 주제로 이같이 밝혔다.
 
사진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만성 교수 바이오코리아2021 컨퍼런스 영상 갈무리.

박 교수는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 하나로 전세계의 일상이 무너졌다. 이를 회복하기 위한 게임체인저는 백신 뿐"이라며 "문제는 계속 변이가 나오면서 어떤 백신을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다"고 운을 뗐다.

박 교수는 "인플루엔자(독감)처럼 코로나19 바이러스도 변이를 거듭하고 있는데, 독감도 매년 예측한 것과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백신의 유효성을 대폭 떨어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매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세계 각지의 바이러스 유행 정보를 종합한 후 다음 해에 유행할 바이러스를 예측, 발표하고 있다. 기업들은 WHO의 예측 정보에 따라 백신을 생산하고 있는데, 바이러스 변이로 인해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예방효과 역시 매우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독감백신은 코로나19백신과 달리 오랜 개발 기간 많은 스터디를 거쳐 만들어지고 있으며, 매년 백신 예방접종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예측과 다른 변이주의 유행으로 인해 유효성이 10~20%인 사례도 있다고 부연했다.

게다가 "백신의 항원 수명이 짧고 항체 지속성도 짧기 때문에 초기에 백신을 맞은 경우 바이러스가 가장 유행하는 1~2월에 독감에 걸리기도 한다"면서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 매년 유행주를 예측해 백신을 개발하는 방식보다, 범용백신을 개발해야 한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범용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박 교수가 이끄는 연구실에서도 범용 백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당쇄화 위치 조절을 통해 교차 면역성을 나타내는 범용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이에 대한 동물실험을 시행한 결과, 기존 백신은 30%의 효과에 그친 반면 당쇄화 변형을 한 후에는 100%의 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코로나19 백신 역시 범용의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코로나19의 유행은 독감처럼 지속될 것이고, 계속해서 변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형태(플랫폼)는 경제적인 측면, 대량 생산 등을 고려해 유정란 방식이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코로나19 백신의 플랫폼은 mRNA, 바이러스백터 등이 있는데, 국내에는 이미 독감 백신의 생산 기반 시설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유정란 기반의 바이러스벡터 플랫폼의 백신이 적절하다는 의견이다. 

이를 이용하면 대규모 시설, 설비 투자 없이 바로 기존의 시설을 활용해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 비용 단가가 낮아 공급 가격도 떨어뜨리고 대량 생산도 가능해 원활한 공급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 교수는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사용해도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NDV 기반의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며 "범용 백신을 개발을 완주해 시즌마다 백신을 접종해 코로나19를 무력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