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배진건 칼럼니스트] KAIST 생명과학과 정원석 교수가 한국에 돌아온 지난 2년 반동안 여러 학교에서 세미나를 가질 기회가 있었다. 올해 처음 학교가 아닌 기업에서 정 교수의 세미나를 두 번 가졌는데, 필자는 모두 현장에서 들었다.
그 분이 한국에 돌아온 후의 여러 업적, 예를 들어 삼성 'Science & Technology' 재단의 연구비를 받은 것이나 지난 2년 동안 발표한 논문의 임팩트를 평가한 2017년 'Inge Grundke-Iqbal' 상(償)을 받은 것을 이야기 하고자 이 칼럼을 쓰는 것은 아니다. 정 교수가 스탠퍼드대의 훌륭한 교수 한 분 밑에서 6년간 박사후연구원(포닥)을 경험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주인공은 트렌스젠더 신경생물학자인 스탠퍼드대의 벤 바레스 교수다. 그는 2016년 4월 췌장암 진단을 받고 20개월 투병 끝에 지난 해 12월 27일 별세했다. 정 교수는 그와 영상전화로 마지막 안부를 묻는 시간을 가졌다고 한다.
스탠퍼드대 부고 자료와 정 교수의 증언에 따르면, 바레스 교수가 투병 말기에 매달린 것은 제자 및 연구원들의 추천서를 다시 쓰는 일이었다고 한다. 그는 “내게 남은 시간이 얼마든 반드시 해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며 이미 교직을 얻은 정 교수까지도 추천서를 다시 써줬다"고 한다. 그가 정교수로 테뉴어를 받으려면 벌써 몇 년전에 써준 것과 상황이 달라졌고, 그것을 다시 쓰는 일이 마지막으로 새롭게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죽음을 앞에 둔 과학자가 자신의 제자를 위해 마지막 작업을 한 것이다. 바레스 교수의 이 이야기는 너무 감동적이었다.
필자가 서울 집에 걸어들어오는 길목 건너편에 술집이 하나 생겼다. 그냥 술집은 아니었다. 입구에 연예인 하리수 씨의 큰 사진이 가려졌다가 밤이면 다시 열린다. 트렌스젠더들이 모이는 바(Bar)이다. 매일 지나다니는 길목에 그런 술집이 있는 것이 편치는 않았다. 그러나 벤 바레스 교수의 성전환 수술 이야기를 들으며 생각이 달라졌다. 그것은 우리가 모르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바레스 교수는 1954년 뉴저지 웨스트 오렌지(West Orange)에서 3녀 1남의 장녀 바버라(Barbara)로 태어났다. 웨스트 오렌지는 필자의 처음 직장 쉐링 플라우(Schering-Plough) 연구소가 위치한 불룸필드(Bloomfield)의 옆 동네이다. 바버라는 이란성 쌍둥이로 함께 태어난 동생 도널드(Donald)의 장난감과 옷을 더 좋아했고 해마다 가을의 할로윈 축제 때도 군인이나 미식축구 선수로 분장하곤 했다고 한다. 외모는 여자로 태어났다. 하지만 그렇게 남자로 성전환한 이유에 대해 그가 아주 어렸을 때 어머니에 의해 복용한 남성 호르몬제 때문인 것 같다고 동료들에게 말하곤 했다.
그는 과학을 좋아하며 고교 시절에는 수학 천재로 불렸다. 이후 MIT에 진학해 생명공학을 전공했고, 1979년 다트머스대 의대에서 박사학위(M.D)를 받았다. 그는 미국 뉴욕의 웨일 코넬대의대 신경과 클리닉에서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이수했다. 다양한 퇴행성 신경증에 무력한 의료 현실에 눈을 떴다. 1983년부터 하버드의대 신경학 대학원 과정을 시작하면서 환자 뇌조직의 손상 부위 주변에 교세포(Glioma)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현상을 처음 관찰한 것도 그 시절이었다.
그 때부터 바레스 교수는 교세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교세포를 배양하는데 힘을 쏟았다. 그는 밤에 진료의사로 일하며 대학원 연구를 병행했다. 1990년에서야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당시로선 교세포 분리 증식 분야에서 앞서 있던 런던대 래프연구소에서 3년간 박사후 연구원(포닥)으로 일했다. 1993년 스탠퍼드대 신경생물학과 조교수가 되면서 미국으로 돌아왔고, 1998년 부교수에 이어 2001년 정교수가 됐다.
그가 언제 유방암이 발병됐는지 잘 모르겠다. 어머니의 사인(死因)이기도 했던 유방암 발병 후 41세가 되던 1995년에 성전환 수술이라는 큰 결정을 했다고 한다. 그는 어려서부터 의아했던 성의 의구심과 유방암을 제거하기 위해 유방절제 수술과 동시에 호르몬요법으로 ‘바버라’서 ‘벤’으로 변했다. 그는 그동안 여성 연구자로 겪은 일들이 성차별이란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다. 그는 생물학적 남성으로서 차별의 양지로 나온 뒤에야 과거 여성으로 살던 시절 '차별의 응달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성공한 여성들이 자신의 예외적 우월성을 더 돋보이게 하기 위해 성차별에 동조하는 ‘사다리 걷어차기’의 폐해도 비판했다.
바레스 교수가 2005년 2월 ‘셀(Cell)’ 논문을 통해 성상교세포(astrocyte)의 뉴런 형성 비밀을 처음 밝힌 이후 바레스 랩(lab)은 잇따른 획기적인 교세포 관련 논문들로 뇌 신경학 연구의 새 바람을 앞장서 개척해왔다. 뇌 신경과학자들은 벤 바레스를 ‘교세포의 대부(The Godfather of Glia)’ 라고 부른다. 그가 런던대 시절부터 교세포를 기르는 방법을 고안했기 때문이다. 바레스 교수의 이름이 학계 바깥으로 알려진 건 아이러니하게도 2006년 7월 그가 ‘네이처’에 'Does gender matter?’ 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발표한 뒤부터였다. 하버드대 총장이던 로런스 서머스(Lawrence H. Summers, 1954~)의 성차별 발언에 맹공을 퍼부은 글이었다.
그는 생물학적 여성으로 태어나 1995년 성전환수술로 남성이 된 트랜스젠더 과학자였다. 바레스 교수는 여성으로서 교육을 받고 연구자로 살아온 시절과 성전환 이후 겪은 바를 대비하며 자신의 성차별 경험을 폭로했다. 그것이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학계를 포함 사회 전반의 고질적인 문제라는 점을 다양한 연구 데이터로 고발했다.
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 환자의 60~70%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신경질환으로 치료제 자체가 미미하다. 이 때문에 나이가 들면 누구든지 염려하게 된다. 바레스 교수는 죽기 직전 “퇴행성 신경장애 및 질병의 매커니즘을 확인한 것이 우리 연구소 최대 업적일 것”이라고 토로했다. 바레스 교수 연구소(lab)은 성상교세포(astrocyte)와 미세교세포(microglia)의 면역기능 이상이 만성 통증 및 다양한 퇴행성 신경장애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 현재도 도처에서 이를 근거로 많은 약들이 개발되고 있다.
필자는 같은 시대에 과학을 시작하고 또 지역적으로 오래 살아 잘 아는 뉴저지 중부에서 태어난 베레스 교수의 업적과 행동을 알면 알수록 참 귀감이 되는 분이라고 느꼈다.
※이 칼럼은 정원석 교수와의 두 번의 대화와 2018년 1월 6일자 한국일보 '트랜스젠더 신경과학자, 벤 베어리스'를 참조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