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브렐의 알츠하이머 효과 발견을 어떻게 처리할까

[칼럼] 배진건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 상임고문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배진건 칼럼니스트]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등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면역체계가 스스로를 적으로 인식해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많은 연구에서 TNF-α(종양괴사인자)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이 몸 속에서 과다하게 생성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인 TNF-α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TNF-수용체와 결합해 염증을 일으키는 신호를 보내는데, 엔브렐(Enbrel)은 이 수용체와 형태가 유사한 물질을 몸 안으로 공급함으로써 TNF-α가 수용체에 닿기 전에 먼저 결합해 염증신호를 보내지 못하도록 작용한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1998년 TNF-α 억제제 ‘엔브렐(성분명 에타너셉트)’이 개발됐고, 이후 ‘레미케이드(성분명 인플릭시맙)’,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 등이 뒤를 이었다.

다른 TNF-α 억제제가 항원-항체반응에 따라 TNF 자체를 없애는 방식이라면 엔브렐은 TNF가 수용체에 도달하는 것 만을 차단한다는 특징이 있어 정상적인 세포를 파괴하지 않는 것을 최대 강점으로 갖고 있다. 특히 엔브렐은 체내에서 다른 물질로 인식되지 않아 면역반응 없이 효과를 낼 수 있으며,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는 면역질환 환자에게도 단독 처방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있어 최초의 생물학적제제로, 오랫동안 축적된 효과와 안전성 임상데이터를 바탕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처방돼 왔다. 또한 엔브렐은 환자들이 최적의 치료를 받으며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편의성을 위해 주 2회에서 주 1회로 새로운 제형(엔브렐 50mg Once Weekly Pre-filled Syringe)을 선보이기도 했다.

글로벌 제약회사인 화이자(Pfizer)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단서를 잡고도 비용을 이유로 개발에 착수하지 않았고, 관련 정보도 공개하지 않았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6월 4일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화이자 내부 연구팀은 2015년 자사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엔브렐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요소를 64%나 줄인다는 기대하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이 정보는 199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허가를 받은 후 얻어진 수십만 건의 의료보험 청구 사례를 분석한 결과였다. 엔브렐을 투약한 알츠하이머 환자가 '기억상실'과 '가벼운 인지장애' 검사를 받았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지난해 2월 화이자 내부 위원회 검토를 위해 준비된 파워포인트 자료에는 "엔브렐이 잠재적으로 안전하게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진행을 낮출 수 있다"고 적혀 있었다고 WP는 전했다.

이런 자료를 바탕으로 WP는 화이자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단서를 잡고도 비용을 이유로 개발에 착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화이자가 재정적인 이유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나서지 않았다면 엔브렐의 알츠하이머 병 억제 효과에 관한 정보라도 외부에 공개해 신약 개발에 기여했어야 하는데 화이자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WP는 지적했다. 언론의 이러한 지적은 옳은 것인가?

화이자는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정보를 공개하면 외부 과학자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WP에 밝혔다. 통계 수치가 '엄격한 과학적 기준'에 맞지 않아 임상시험 성공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는 것이다.

약을 어떻게 연구하고 적용할지 등에 대한 제약사 내부의 토론 과정이며 결정 사항이기에 언론의 지적은 옳은 것 같지 않다. 제약사는 과학을 바탕으로 이익을 내 주주들을 만족시켜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것이지만 이번 사례의 경우 기업 최고 결정권자 임원들의 판단이 의사 결정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보여주는 것이다.

화이자가 개발에 착수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알츠하이머 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 지금까지 치료제가 나오지 않아 이를 개발하는 제약회사는 돈방석에 앉을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추측하기에 화이자가 제일 먼저 고민한 것은 '엔브렐이 알츠하이머 병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이려면 BBB를 통과해 뇌 조직에 들어가는 것일까?'였을 것이다. 항체와 비슷하게 Fc구조를 지닌 엔브렐은 934아미노산으로 구성돼 있어 크기가 150kDa이다. 화이자 측은 WP에 3년 동안의 내부 검토를 거쳐 엔브렐은 뇌 조직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 예방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화이자가 알츠하이머 병으로 임상을 진행한다면 비용은 약 8000만달러(약 943억원)가 들 것으로 추산됐다. 더욱이 20년의 특허 기간이 끝난 엔브렐은 복제약이 나오기 시작해 화이자는 다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를 내놓은 상태였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2015년 엔브렐 바이오시밀러인 ‘브랜시스50㎎ Pre-filled Syringe’에 대한 국내 시판허가를 획득했다. 아마도 이런 바이오시밀러와의 경쟁이 가장 큰 이유였을 것이다.

이런 재정적인 환경에서 화이자가 엔브렐을 가지고 알츠하이며 병을 타겟으로 임상을 진행하면 위험이 크고 비용이 매우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비전략적인 신약 개발이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화이자가 2018년 1월 더 이상 알츠하이머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뉴로(Neuro) 파트의 연구원 300명을 해고한다고 발표했다. 물론 알츠하이머 병 환자에게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놓고 벌어지는 좌절스러운 단면을 엿보게 해주지만.

이제 WP에 의해 정보가 공개됐기에 다른 제약사들의 반응은 어떨까 궁금하다. 만일 화이자가 뇌 안에 들어가는 항체에 대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면 어떤 결정을 내렸을까? 한쪽에 엔브렐을 붙이고 다른 한쪽에 뇌 안으로 들어가는 항체로 이중항체를 만들 수 있다면 어떤 결정을 내렸을 지 필자는 개인적으로 궁금하다. 

아직까지 완치가 불가능한 자가면역질환은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데,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치료제의 효과와 안전성이다. 엔브렐은 생물학적 제제 가운데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최장 기간의 데이터로 이미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단점인 결핵발현이 다른 생물학적 제제보다 적다는 데이터 역시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더구나 덤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진행을 낮출 수 있다면 엔브렐을 투여 받는 환자에게는 정말 기쁜 소식일 것이다.


※칼럼은 칼럼니스트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